본문 바로가기

행동지원17

행동의 기능평가의 의의 특수교육에서 행동의 기능평가는 응용행동분석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초창기에 행동의 기능평가에 관한 연구는 중재를 실행하기 전에 문제행동을 유지하는 변수를 찾아내는 것의 가치를 보여 주는 것에서 출발하였다(Hanley, Iwata, & McCord, 2003; Sugai et al.,2000). 문제행동의 유지 변수를 찾는 것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미국의 경우, 1997년 개정된 장애인교육법(IDEA)에는 도전적 행동 때문에 학생의 교육적 배치를 변경하게 되는 경우에 반드시 행동의 기능평가를 하도록 요구했다. 그런데 이 법이 2004년에 개정되면서 필요할 때 행동의 기능평가를 실시하는 것으로 규정이 조금 약화되기는 했지만, 여전히 학생의 도전적 행동으로 특수교육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장애인교육법」에 명시된 .. 2024. 5. 9.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실행 미국의 경우는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개별 학교에서 실시하는 중재나 조직 정비에만 국한하는 것이 아니라, 지구(district)와 주(state) 차원의 더 거시적인 조직체계 내에서 운영되고 있다(OSEP, October 2015b; Stormont, Lewis, Becker, & Johnson, 2012). 지구나 주 차원에서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전문가를 찾아내어 코디네이터로 임명하고, 그 전문가가 긍정적 행동지원 훈련가들을 육성하고, 그 훈련가들이 개별 학교의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팀을 훈련하거나 개별 학교의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팀 내에 있는 코치를 훈련하여, 그 코치가 자기 학교의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팀을 훈련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거시적인 조직체계 내에.. 2024. 5. 7.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의사결정 과정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효과적으로 실행되려면 주관적 판단이 아닌 객관적 자료에 근거한 의사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Lewis, Barrett, Sugai, & Horner, 2010).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실행하려면 거시적인 체계에서부터 자료에 근거한 의사결정이 요구되지만, 여기에서는 한 학교 내에서 자료에 근거하여 계획한 중재들이 잘 실행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의사결정 과정을 소개하겠다.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실행에서 의사결정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자료는 다음 네 가지이다. ① 보관된 기록, ② 평가서/설문지, ③ 면담, ④ 직접 관찰 자료. 하지만 평가서/설문지 또는 면담의 내용은 행동의 기능을 찾기 위한 내용이지, 중재 효과를 평가하는 것은 아니므로 주의해야 한다. 학교 차.. 2024. 4. 30.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핵심 요소 긍정적 행동지원을 학교 차원으로 확장하자고 주장한 Sugai와 Horner(2002, 2006)는 학교를 하나의 조직으로 보고 이에 대해 체계적으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성과(outcome), 실제(practices), 자료(data), 시스템(system)이라는 네 가지 요소들을 통합해야 한다고 했다. 그들이 주장한 네 가지 요소의 관계를 OSEP(October 2015a)는 다음 [그림 2-5]와 같이 제시했다.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효과적 실행을 위한 네 가지 핵심 요소에 대한 설명을 에 제시했다.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실행의 핵심요소요소설명시스템정확하고 지속 가능한 실제의 실행과 자료의 효율적인 사용과 성과의 성취를 위해 필요한 지원자료성과와 실제와 시스템을 선택하고 점검하고 .. 2024. 4. 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