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행동지원17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개념적 이해 대부분의 교사들은 학교현장에서 학생들의 문제행동과 관련하여 징계나 처벌에 초점을 두는 전통적인 전략을 사용하지만, 교사들의 부정적이고 처벌 중심적인 훈육은 문제행동을 조절하는 데 효과가 없을 뿐만 아니라 문제행동의 강도와 빈도를 더 높이고 학생과 교사 간의 관계를 악화시킬 수 있다. 이렇게 전통적인 혐오자극 사용의 역효과와 윤리적 문제가 대두되면서 그에 대한 대체 중재로 긍정적 행동지원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행동 전문가가 문제행동을 하는 소수의 학생들을 소집단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지도하여도 학생이 교실로 돌아가면 그 지도는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그 이유는 전략이 잘못되어서가 아니라, 학생이 속해 있는 환경이 지속적으로 학생의 대체행동이나 바람직한 행동을 지원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전문가가 학생에게.. 2024. 4. 21.
행동지원의 윤리적 문제 1) 지금까지의 비판 행동주의에 기초한 전통적인 행동지원 방법들이 가장 크게 비판을 받아 온 것은 행동지원 방법이 비인격적이라는 데 있다. 이는 '행동수정'이라는 용어가 행동을 변화시키는 모든 방법을 지칭하는 용어로 오용되면서 더욱 굳어졌다. 참으로 비인격적이고 비윤리적인 혐오적 방법들이 행동수정이라는 이름으로 사용된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면, 타임아웃을 적용한다고 며칠씩 아이를 고립된 장소에 둔다든지, 부적절한 행동에 대한 후속결과로 세제로 입을 씻는다든지, 전기 충격을 가하는 방법을 행동수정이라고 명명해 왔다. 물론 행동주의 중재에는 아이에게 고통이나 불편을 주는 혐오자극을 제시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는 반드시 적법한 절차를 거쳐야 한다. 또한 행동주의 중재에 대한 비판의 핵심은, 인간의 행동을 외.. 2024. 4. 4.
행동지원의 기초 2 3) 행동지원의 절차 Wolery와 Bailey, Sugai(1988)의 행동지도 교수 모델은 긍정적 행동지원이 소개되기 전까지 아동의 문제행동지도에 주로 적용되던 모델이다. 그러한 교수 모델에는 언급한 바와 같이 행동 원리의 적용(예: 타임아웃)과 개별적 접근(예: 목표 진술, 정보 수집, 평가)은 있지만, 문제행동의 원인을 찾아 그에 따라 선행사건을 조정하거나 환경을 바꾸거나 대체 기술을 교수하는 등은 없고 문제행동에 대한 사후 반응만 있을 뿐이다. 그러나 긍정적 행동지원이 소개되면서 이러한 점을 보완한 행동 절차들이 소개되고 있다. Sugai와 동료들(2000), Kerr와 Nelson(2006), Bambara와 Kern(2008)이 제안하는 행동의 기능평가를 중심으로 한 행동지원 절차를 살펴보면.. 2024. 4. 3.
행동지원의 기초 1 1) 개별화된 행동지원 교수 모델의 필요 특수교육 대상 아동들의 특별한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특별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또한 특수교육 대상 아동들은 개인차를 보이기 때문에 아동마다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교수 방법이 필요하다. 이런 점이 개별화 교육의 필요성을 설명해 준다. 개별화 교육이란 개별 아동이 가지고 있는 교육적 요구를 그 능력에 따라 충족할 수 있게 해주는 교육적 조치를 의미한다. 개별화 교육의 원리는 아동의 학습 아니라 사회적 행동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문제행동을 보이는 아동은 자신만의 독특한 학습 원리와 학습 역사(learning history)가 있기 때문에 한 가지 행동주의 절차에 대해서 각각 독특한 반응을 보인다. 따라서 다수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행동주의 절차가.. 2024. 4.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