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긍정적 행동중재와 지원

전통적인 행동중재 방법의 제한점

by 따수미 2024. 4. 8.

 전통적으로 교육자들은 학생의 문제행동을 주로 벌을 주는 것으로 다루었다(Gushee, 1984; Sugai & Horner, 2002). 훈육(discipline)이라는 용어는 '벌(punishment)'이란 말을 떠올리게 하는데, 그 이유는 전통적으로 훈육을 할 때 벌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사실 벌을 주고 배제시키는 것은 문제행동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반응이었다. 비난, 징계, 배제와 같은 이러한 처벌적인 사후 반응은 행동을 변화시키는 데 효과적이지 않고 오히려 문제행동을 잘못 강화해 주는 기법임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Heumann & Warlick, 2001). 물론 전통적인 행동중재에서도 사전 예방적인 기법들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교사들은 교실규칙을 정해 놓기도 하고, 대부분의 학교는 교실이나 학교 규칙을 마련하고 학생들이 해서는 안 되는 문제행동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러한 행동을 할 때 받게 되는 후속결과(처벌 방안)가 무엇인지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단지 규칙을 어길 때 받게 되는 행동이나 벌칙을 규정해 놓는 것은 매우 불충분하고, 효과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인식이 많으며, 그 대상도 수업 중에 떠드는 것과 같은 비교적 작은 문제행동에 대한 내용들을 주로 다루고 있다. 불행히도 이러한 전통적인 방법은 상습적으로 심각한 문제행동을 보이는 학생들에게는 효과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야기하기도 한다.

 

 1. 전통적인 훈육 방법은 특정한 소수인종 학생들에게 불균형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전통적이고 사후반응적인 방법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대상 학생의 성별, 인종, 능력, 가정형편 등이 한쪽으로 매우 치우쳐 있다는 점이다. 특이한 점은 정학과 같이 학생을 배제하는 형태의 벌칙이 다른 학생들보다 소수인종, 특히 흑인 학생에게 많이 적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1975년 아동보호기금(Children's Defense Fund)으로 실시된 기념비적인 한 연구는 몇 가지 중요한 사실을 보여 주었다. 첫째, 정학을 받은 학생의 비율이 모든 학년에 걸쳐 백인보다 흑인에서 2~3배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부분의 주에서 전체 흑인 학생의 5%가 넘는 학생이 정학을 받은 반면에, 백인 학생은 단지 4개의 주에서만 같은 비율로 정학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한 번 이상의 정학을 받은 수에 있어서도 흑인 학생들이 백인 학생들보다 훨씬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Children's Defense Fund, 1975).

 이러한 현상은 1975년 이후에도 계속되고 있으며, 2014년에 미국 교육부가 발행한 인권에 대한 보고서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이 보고서는 2011~2012학년도에 미국의 모든 공립학교에서 조사된 학교 훈육에 대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담고 있는데, 유색인종 학생이나 장애학생들은 모든 학년에 걸쳐서 학교 훈육과 처벌을 불균형적으로 훨씬 더 많이 받고 있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이 보고서의 내용에서 몇 가지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흑인 학생들은 전체 학생 중에서 약 16%를 차지하는 데 비하여, 학교내 정학을 받는 학생들 중에서는 32%나 되고, 학교의 정학을 받는 비율 중에서 33%가 되며, 학교에서 쫓겨나는 학생들 중에서는 34%를 차지하고 있다.

 - 흑인 학생들은 법적 제재를 받는 비율도 불균형적으로 높은데, 법적 제재를 위해 조회되는 학생들의 27%를 차지하며, 학교에서 문제를 일으켜 구속되는 학생들의 31%가 흑인 학생들이다.

 - 전체 유치원 아동 중에서 흑인 아동의 비율은 18%가 되는 데 비하여 학교에서 문제행동을 보여 정학을 받는 흑인 아동의 비율은 거의 절반(48%)을 차지하고 있다.

 다른 그룹들도 전통적인 훈육 체계에 의하여 불균형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여러 연구들은 인종에 따른 차이 외에도 낮은 경제계층의 남학생이나 장애학생들이 중산계층이나 상류계층의 학생들보다 훨씬 더 많이 배제되거나 처벌(예: 처벌, 공식적 비난과 징계 등)을 받는 것을 보여 준다(Leone et al., 2003; Skiba et al., 2000). 게다가 경제적으로 낮은 계층의 학생 중에서도 유색인종 학생들이 그러한 조건의 백인 학생들보다 더 많은 훈육적인 처벌을 받는 것을 알 수 있다(Darensbourg, Perez, & Blake, 2010; Skiba, 2000; Taylor & Foster, 1986).

 소수인종 학생이 정학을 받는 비율이 불균형적으로 높지만 그러한 학생들이 다른 학생들보다 더 많이 소란을 피운다거나 문제행동을 더 많이 보인다는 것과 관련하여 그 어떤 객관적인 증거도 제시되지는 못하고 있다. 사실 흑인 학생들이 작은 위반행위를 해도 백인 학생들보다 훨씬 더 자주 교장실로 불려가며, 같은 정도의 행동문제에도 더 심한 처벌을 받으며, 행동문제에 있어서 훨씬 더 부정적인 판단을 받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이 제기되고 있다(Leone et al., 2003; Opportunities Suspended, 2000; Skiba et al., 2000).

 

 2. 전통적인 학교 훈육 방법은 학생들로 하여금 청소년 비행이나 범죄에 빠지게 하는 위험이 있다. 학교-교도소 경로(school-to-prison pipeline)라는 용어는 심각한 행동에 대한 불관용 정책에 근거하여 학교 훈육에서 강경 정책(get tough)을 실시하는 것으로부터 파생되는 문제를 기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이다. 불관용 정책(zero tolerance)은 원래 학교에서 무기 소지나 마약, 폭력과 같은 심각한 위반행동에 대하여 정학이나 퇴학과 같은 처벌을 적용할 때 사용되었다(National Association of School Psychologists, NASP, 2001). 그러나 시간이 갈수록 이러한 불관용 정책은 규정을 어기는 행동이나 여러 가지 문제행동에 대해 심한 처벌을 주는 것으로 확대되었는데, 때로는 위험하지 않은 사소한 행동에 대해서도 적용하게 되었다(fABELO ET AL., 2011; nasp, 2001; Skiba, 2000). 불관용 정책과 관련된 법과 규정은 문제행동 중재에 있어서 교사들로 하여금 사건의 경중이나 학생의 의도, 또는 완화시키는 요인들에 대하여 평가하고 고려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고, 미리 정해진 처벌이나 반응을 적용하게 하였다. 이러한 법 집행의 경직성은 여러 가지 많은 불합리한 문제들을 발생시키는데, 예를 들면 유치원 학생이 학교에 부러진 플라스틱 장난감 총을 가져온 것 때문에 30일의 정학을 받는다든지('여자아이의 추방', 2013. 1. 31.), 고등학교 여학생이 두통 때문에 의사 처방 없이도 살 수 있는 진통제를 소지한 것에 대하여 약물 규정에 관한 학교의 불관용 정책을 위반하였다는 이유로 퇴학을 당하기도 하였다('ACLU Files Lawsuit', 2001. 2. 1.)

 학교-교도소 경로와 관련된 또 다른 문제점은 무단결석이나 지각 또는 학교 안에서의 위반행동과 같은 학교 훈육문제를 법적 처벌을 받도록 조회함으로써 생기기도 한다. 학교에서의 문제행동에 대하여 많은 주에서는 학교 경찰이나 지역 경찰이 학생을 체포하여 수갑을 채우고 구치소에 이송하기도 한다(Aull, 2012). 어떤 주에서는 학교 경찰로 하여금 방해행동이나 무질서행동 또는 무단결석과 같은 아주 심하지 않은 문제행동에 대해서 학생 비행 소환장을 발행하도록 허용하고 있다(Fowler, 2011a, 2011b). 이러한 소환장을 받은 학생은 일반적으로 청소년 비행 담당 판사나 일반 법원에 출두하게 된다. 판결은 벌금이나 지역사회 봉사가 될 수 있으며, 학생에게 범죄 기록으로 남을 수도 있다(Fowler, 2010). 소수인종 학생이나 장애학생은 법적 처벌을 포함한 이러한 훈육 관련 문제에 대해 불균형적으로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상황이다(Fowler, 2011a, 2011b).

 학생이 자주 작은 문제행동을 저질러서 학교로부터 여러 번 되풀이하여 정학을 당하는 것도 명확하지는 않지만 학교-교도소 경로와 관련된 문제가 된다. 2011년에 주정부 사법기관에서 텍사스 주의 공립학교의 훈육과 관련된 '학교규칙 어기기'라는 연구 보고서를 발행하였다. 그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6년 동안에 거의 백만 명의 중등학교 학생들(2000~2002년 동안에 중학교 1학년이었던 학생들)의 학교 훈육과 학교 성적 기록을 조사하였다. 이에 더하여 연구자들은 청소년 비행과 관련된 사법 기록을 조사하였으며, 비행 사법기관에 수감되었던 청소년들의 학교 기록도 추적하여 조사하였다. 이 연구 보고서는 학생의 작은 문제행동에 대해서도 학교내 정학이나 학교외 정학 또는 퇴학 등이 아주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특히 소수인종 학생이나 남학생 그리고 장애학생들에게는 불균형적으로 많이 적용되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Fabelo et al., 2011). 훈육과 관련하여 처벌을 받은 학생들은 그러한 상태가 지속되거나 또는 학교를 그만두는 경우가 많다 .게다가 정학이나 퇴학을 시키는 것은 1년 안에 비행과 관련된 사법 문제와 연루되는 것을 예측하게 한다.

 이러한 훈육 정책의 목적은 학교의 질서와 안전이다. 그러나 단순하게 적용되는 강경한 학교 훈육 정책은 학생을 학교에서 추방한다고 해서 그러한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강경 정책이 실제로는 좋은 결과보다는 나쁜 결과를 낳고 있으며, 이와 반대로 학교 분위기, 예방 전략, 학생 참여와 같은 것을 강화하는 것이 학교의 안전과 질서를 세우는 데 더욱 효과적이고 효율적이라는 점을 많은 실제적인 증거들은 제시하고 있다.

 

 3. 전통적인 훈육 방법은 사후 반응적이다. 행동문제에 대한 훈육에 있어서 대부분의 전통적인 방법들은 문제행동이 일어난 후에 반응한다(예: 교무실 호출, 정학, 부모 호출 등). 이러한 방법은 문제행동이 일어난 후에야 중재적인 접근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문제행동이 일어나기 전에 예방하는 것이 훨씬 더 바람직하다. 물론 어떤 사람들은 교무실 호출이나 정학과 같은 것을 규칙으로 정하는 것은 예방적인 면이 있다고 말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데이터와 맞지 않는다. 사실 사후 반응적인 처벌을 받는 대부분의 학생들은 되풀이하여 문제행동을 일으키는 경향이 있는데(Public Agenda, 2004). 이러한 사실은 처벌을 받는 것이 문제행동을 예방하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이것은 과속 운전과도 유사하다. 과속을 하는 운전자에게 스티커를 발급하는 것은 속도를 줄이게 하는 데 충분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일단 과속범칙금을 받게 되면 처음에는 속도를 좀 줄이지만, 점차적으로 이전의 운전 습관으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교도소에 간다거나 많은 벌금을 낼 수 있다는 점은 어떤 사람이 범죄를 저지르는 것을 막기에 불충분할 때가 많다.

 

 4. 사후 반응적인 방법에는 일반적으로 많은 시간과 자원이 요구된다. 교사와 학교 행정가들은 많은 시간을 학생들의 문제행동을 다루는 데 사용하고 있다(Heumann & Warlick, 2001; Public Agenda, 2004; University of Vermont, 1999). 이러한 시간이나 자원을 긍정적이고 지원적인 학교 환경을 만들거나 효과적인 교수를 하는 데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훈육실에 보내는 데 사용되는 시간을 한 번 생각해 보라. 어떤 연구는 학생을 훈육실에 한 번 보내는 데 약 10분의 학교 행정가의 시간과 약 20분의 학생의 시간이 소비된다고 밝혔다(Illinois PBIS Network, 2005). 이를 위해 먼저 교사는 일반적으로 수업시간 중에 학생을 훈육실로 보내기 위한 서류를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교감선생이나 학생 문제행동을 맡은 학교 행정가는 학생을 훈육실로 불러야 하고, 학생이 도착하기를 기다리고, 학생과 얘기하면서 행동에 따른 결과(예: 학교내 정학, 부모 호출 등)를 결정하고, 학생을 훈육실로 보낸 교사에게 그 결과를 알려야 한다. 그리고 그러한 사실에 대한 문서를 만들어 두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결정된 사항을 실행하는 일과 관련하여 학교의 다른 교사들(예: 학교내 정학 담당교사)의 시간을 사용해야 한다. 문제행동을 일으키는 학생들이 많을수록 이러한 과정은 증가하게 되고, 행동문제를 처리하는 데 그만큼 더 많은 시간이 소비된다. 사실 이러한 시간을 사전 예방적인 행동중재를 적용하는 데 사용한다면 더욱 긍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5. 전통적인 훈육 방법은 바람직한 교육을 실시하려는 교사들의 의도와는 정반대가 될 수도 있다. 교육자는 학생을 가르치고 지도하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매우 긍정적이고 바람직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훈육 방법을 비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학생들과 유쾌하지 못한 관계를 만들게 되고, 더 나아가서는 서로 적대적이고 파괴적인 상황을 만들 수도 있다(Public Agenda, 2004).

 

 6. 학생들에 대한 훈육문제가 교사들이 직면하는 가장 어려운 일이 되며, 교사들이 교단을 떠나는 중요한 원인 중의 하나가 된다. 교사들은 흔히 교직의 실제 상황에 대한 훈련 부족이 교단을 떠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원인 중의 하나라고 말한다(Hardy, 1999; McCreight, 2000; Public Agenda, 2004). 경험이 많고 잘 훈련된 교사가 교단을 떠나는 것은 교육계의 큰 손실일 뿐만 아니라 좋은 자원을 잃게 되는 것이다.

 

<출처: 긍정적 행동중재와 지원, Brenda K. Scheuermann, Judy A. Hall 지음>

 


-->-->